💕IT 공부하기 40

[CSS3] text-shadow, box-shadow 글자와 박스에 그림자 생성하기

text-shadow와 box-shadow를 이용하여 요소에 그림자를 추가해 주는 기능입니다. 포토샵에서의 drop-shadow와 비슷한 기능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1) text-shadow : 텍스트에 그림자 추가하기 text-shadow : 가로축거리 세로축거리 퍼짐도 색상; 다음의 예제를 통해 text-shadow의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TEST1 TEST2 2개의 태그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합니다. 태그에 공통으로 글자의 모양을 설정해 준 뒤, nth-child를 이용하여 text-shadow에 각기 다른 속성 값을 입력합니다. 첫 번째 태그에는 그림자의 가로축과 세로축 거리를 플러스 값으로, 두 번째 태그에는 마이너스 값으로 설정한 뒤, 퍼짐도 의 수치를 2배 정도 증가시킵니다..

[CSS3] CSS가상 선택자 정리 및 비교 (first-child, last-child, nth-child, nth-of-type, )

(1) nth-child :nth-child(1) = 첫번째 선택 span p span p span p p p p p :nth-child(2n) = 두번째 마다 선택 span p span p span p p p p p :nth-child(2n+1) = 첫번째 요소부터 2번째 마다 선택 span p span p span p p p p p :nth-child(2n+5) = 다섯번째 부터 2개 마다 선택 span p span p span p p p p p :nth-child(-2n+5) = 첫번째 요소부터 5번째 요소까지 2개 마다 선택 span p span p span p p p p p :nth-child(n+5) = 5번째 부터 모두 선택 span p span p span p p p p p :nth-chi..

[CSS3] nth-child():원하는 순서 값에 해당하는 태그를 선택하는 CSS선택자

기존에는 같은 형식의 HTML 태그가 쭉 나열된 경우 특정 태그만 선택하여 CSS로 꾸며주기 위해서는 해당 태그에 일일이 아이디나 클래스명을 부여해야 했습니다. 예를 들어 100개의 태그가 있고 해당 태그에 총 100개의 클래스명을 일일이 부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CSS3에서 제공하는 nth-child 선택자를 이용하면 반복되는 일련의 태그 중 원하는 순서의 태그만 선택할 수 있어 불필요한 클래스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졌으며 보다 깔끔한 HTML 문서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nth-child()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태그명 : nth-child(순서 값) { css } 다음의 예제를 통해 nth-child의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1 리스트2 리스트3 리스트4

릴레이션 분해(decomposition)과 제1정규형

01. 릴레이션 분해란? 릴레이션 분해는 하나의 릴레이션을 두 개 이상의 릴레이션으로 나누는 것입니다. 릴레이션을 분해하면 중복이 감소되고 갱신 이상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들을 포함하여 몇 가지 잠재적인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첫째, 일부 질의들의 수행 시간이 길어집니다. 릴레이션이 분해되기 전에는 조인이 필요 없는 질의가 분해 후에는 조인을 필요로 하는 질의로 바뀔 수 있습니다. 둘째, 분해된 릴레이션들을 사용하여 원래 릴레이션을 재구성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셋째, 어떤 종속성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분해된 릴레이션들의 조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잠재적인 문제와 중복성 감소 간의 균형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음의 학생 릴레이션은 함수적 종속성들이 만족됩니..

함수적 종속성에 대해 알고계신가요?

01. 함수적 종속성 함수적 종속성(FD : Functional Dependency)의 개념은 정규화 이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함수적 종속성은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가장 중요한 제약조건의 하나입니다. 함수적 종속성에 관한 지식은 갱신 이상과 중복을 제거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ER 다이어그램이 모든 함수적 종속성들을 나타내지는 못합니다.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의 애트리뷰트들의 의미로부터 결정됩니다.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 스키마에 대한 주장이지 릴레이션의 특정 인스턴스에 대한 주장이 아닙니다. 릴레이션의 상태에 포함이 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투플에 대한 제약조건입니다. 함수적 종속성은 릴레이션의 가능한 모든 인스턴스들이 만족해야 합니다. 어떤 릴레이션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