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50

[CSS3] transform(3d변형) : 특정 요소의 모양을 3차원 공간에서 입체적으로 변형하기

바로 전 단계에서 transform의 다양한 속성들을 활용하여 평면상에서의 모양을 변형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평면이 아닌 입체적인 공간에서의 요소 변형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존의 transform 속성들 중 3d로의 변형이 가능한 속성은 translate와 rotate입니다. (1) perspective : 원근감 설정하기 흔히 2d라고 하는 평면공간을 입체적인 3d 공간으로 바꾸는 제일 중요한 요소가 무엇일까요? 기존 x축, y축에 z축을 추가했을 시에 비로소 평면에서 입체적인 공간으로 바뀝니다. 지금부터 우리가 다뤄볼 속성이 바로 이 z축에 해당합니다. 사람의 눈에 더욱 자연스러운 입체공간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근감이라는 요소를 추가해야 하는데 브라우저상에 원근감을 설정해주는 요소가 바로 p..

신(神)과 관련된 꿈풀이 및 꿈해몽

여러분들은 종교를 믿으시나요? 또는 신(神)의 존재를 믿으시나요? 철학자 데카르트는 신의 존재나 세계의 존재는 오직 정신 속의 순수사유에 의해서만 증명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신의 존재 증명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신의 관념을 실마리로 하여 이루어진다하였는데, 그는 신의 인성론적(人性論的) 증명의 시도에서 모든 관념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습니다. (1) 우리 밖에 있는 사물에 의하여 감각을 통하여 얻어지는 '외래관념'(idea adventitiae) (2) 우리 스스로가 꾸며서 만들어 내는 '인위관념'(factitious idea) (3) 우리가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본유관념'(idea innate) 본유관념이란 감각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고 마음에 명석하고도 판명하게 떠오르는 관념입니다. 대표적인 본..

증오, 분노의 감정에 관련된 꿈풀이 및 꿈해몽

증오(憎惡)란 아주 사무치게 미워함, 또는 그런 마음을 말합니다. 분노 (憤怒/忿怒)란 분개하여 몹시 성을 냄, 또는 그렇게 내는 성을 말합니다. 증오와 분노의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으신가요? 내 꿈에 비추어진 증오와 분노 감정은 어떤 의미를 갖고있을까요? 궁금한 꿈 해몽이 있으신가요? 내가 꾼 꿈을 Ctrl+F를 통해 찾아보세요! ▶ 거울에 자기가 미워하던 사람이 나타난 꿈 이유 없이 밉거나 불쾌한 사람을 만날 일이 있을 것이다. ▶ 군중이 노도와 같이 분노하는 꿈 사회가 어지럽고 질서가 문란하게 된다. 집단 이기주의, 시달림을 당한다. ▶ 남편이 화를 낸 꿈 가정에 불화가 생길 징조이다. ▶ 다른 사람에게 화내는 꿈 꿈속의 다른 사람과 좋은 인연을 맺는다. ▶ 드라마를 보면서 화를 낸 꿈 주위 사람과..

[CSS3] transform(2d변형) : 특정 요소의 모양을 평면상에서 자유롭게 변형하기

기존 웹 표준에서 모든 HTML 요소의 모양은 사각형이었으며 해당 모양을 변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지만 CSS3으로 넘어오면서 포토샵의 기능과 비슷한 변형 속성이 대거 추가되었습니다. 따라서 기존에는 불가능하던 다양한 디자인 기법이 순수 CSS 기술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CSS3 기능의 추가는 jQuery와의 결합을 통해 더욱 역동적이고 인터랙티브한 웹 사이트 제작을 도와줍니다. 여기서는 transform의 속성 중 평면상에서 구현가능한 기능들을 위주로 학습하겠습니다. transform의 경우에는 속성도 다양하고 표기법이 다소 익숙하지 않을 수 있으니 해당 예제를 차분히 따라 해보면서 천천히 눈에 익히기 바랍니다. (1) translate : x축이나 y축으로 이동 translate는 ..

[CSS3] box-sizing : 볼록 요소의 넓이와 높이 값 안에 padding과 border 값 포함하기

기존 웹 표준 코딩 시에는 특정 볼록 요소에 넓이 값과 높이 값을 설정한 뒤, 해당 요소에 padding과 border를 설정해줘야 할 경우, 넓이와 높이 값에서 padding과 border의 수치만큼 일일이 빼줘야 했습니다. 넓이와 높이 값을 계산하기 편하기 위해 100px 단위로 맞추어 놓았는데 border값 하나 떄문에 해당 요소의 값이 98px로 지저분하게 깨지는 경험을 해보았다면 box-sizing 속성이 아주 반갑게 느껴지실겁니다. 해당 속성을 추가해주면 굳이 넓이 값과 높이 값에서 padding과 border값을 일일이 빼주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알아서 해당 수치를 제외한 넓이 값과 높이 값을 계산해주는 편리한 기능입니다. (1) box-sizing : border-box; box-sizing..